안녕하세요🤗 다비오레터 6월호입니다. 이번 레터에서는 다비오의 기술과 데이터를 활용한 여러 분야의 사례들을 소개하려고 합니다. 각 분야만 봤을 때는 공통점이 없어 보이지만, 다비오에게 보이는 하나의 🖇️연결고리가 있습니다! 바로 다비오의 공간 정보 AI 기술이 꼭 필요한 분야라는 것입니다. 어떤 기술로 어떻게 활용이 되었는지 같이 확인해 보겠습니다.
SAR 영상 활용 두 번째 사례 | 강물 추출하기 강줄기 데이터 추출을 위해 SAR 영상과 DSM을 활용한 연구 내용입니다.
다비오는 광범위한 영역을 분석할 때 주로 🛰️광학영상을 많이 사용하는데요, 지역에 따른 환경적 특성에 따라 SAR 영상과 같은 레이더 영상을 사용하기도 합니다. 다비오레터 6월호의 첫 소개 사례는 지난번에 소개했던 해안가 배 탐지 사례에 이어 두 번째 SAR 영상 활용 사례로, 인도네시아 지역의 지도 구축을 위한 프로젝트의 일부로 진행한 🏞️강물 정보를 탐지하는 연구입니다.
여기서 더 흥미로운 점은 SAR 영상으로 물줄기를 파악했지만 보다 정확한 분석을 위해 DSM 데이터까지 활용했다는 점입니다. 어떤 내용인지 지금 바로 확인해 보세요!
다비오 공간정보의 유통 적용 사례 | 실내지도와 스튜디오(STUDIO) 방문객이 많은 백화점/쇼핑몰에서는 다비오의 실내지도를 어떻게 사용할까요?
다비오의 공간 정보를 접하기 쉬운 곳은 바로 백화점/쇼핑몰🛍️로, 롯데/현대/스타필드/신세계아울렛 등 에서 다비오의 실내 지도 MAPS를 사용해 고객들에게 서비스하고 있습니다.
홈페이지/모바일앱/키오스크에서 이용 가능한 실내지도는 매장정보를 확인‼️하기 위해 필수적인 데이터입니다. 고객들이 늘 사용하는 데이터인 만큼, 점 별 담당자들도 매장 정보를 항상 최신으로 유지하고 있는데요. 클라우드 기반의 공간정보 플랫폼 다비오 스튜디오(STUDIO)를 이용하는 덕분입니다.👏👏
큰 쇼핑몰이 아니더라도, 실내 공간 정보를 이용한 서비스를 기획 중이신가요? 그렇다면 다비오의 스튜디오와 MAPS를 활용해 할 수 있는 것들이 무궁무진합니다. 물류/전시/박물관/축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으니 관심이 있으시다면 언제든 문의하세요 :-)
팜나무🌴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기 위해 NDVI 데이터를 활용했던 연구를 기억하실까요? 이번에는 해당 데이터를3D로 시각화하고 ☀️날씨와 🕐시간을 접목해 태양 궤적도 볼 수 있도록 여러 데이터를 접목해 보았습니다. 시기가 다른 영상 데이터를 비교해 시간 변화에 따라 팜나무의 건강 상태를 시각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기능도 넣었습니다. 데모 버전이지만 실제로 이렇게 모니터링 서비스가 만들어진다면 정말 유용할 것 같습니다.
여기에 추가로 얹어서 같이 보면👀 좋을 데이터가 또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? 좋은 의견이 있으면 언제든 환영입니다!🤗
지난 6월 22일, 서울시청 서소문 본관에서 열린 ‘제30회 서울시 도시공간 정보포럼’에 다비오가 참석했습니다. '서울시, 위성을 품다! - 드론/항공을 넘어 우주로~!'라는 주제로 산관학연 각 전문가들이 모였었는데요.다비오는 위성 영상 기반 🏢3D 공간 정보 구축 기술 및 사례'를 공유했습니다.
본 포럼을 통해 다비오가 위성영상을 포함해 항공/드론 영상으로 진행 한 국내외 프로젝트들에 많은 관심을 보여 주셨었는데요. 온라인 다시 보기도 가능하니, 어떤 내용들이 포럼에서 이야기 되었는지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👇 링크를 통해 확인해 보세요!
여러분이 듣고 싶은 소식, GeoSpatial & GeoIntelligence 관련궁금한 모든 것에 대해 무엇이든 질문해 주세요!🌎 다비오는다양한 산업 군과 접목한 AI 기반 데이터 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. 언제든 연락 주시면, 자세히 답변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. 감사합니다.